부동산 규제 강화, 미술 시장엔 악재일까? (규제, 유동성, 미술시장)
부동산의 문이 닫히자, 자본은 다시 길을 찾고 있다.2025년, 정부의 강도 높은 규제정책은 고액 자산가들의 유동성을 묶어두었고, 그 여파는 이제 예술 시장으로 번지고 있다. 그동안 ‘부동산 다음 안전자산’으로 꼽히던 미술품 투자.하지만 자금 흐름이 얼어붙으면서 경매장의 열기도 예전 같지 않다.일부 어드바이저들은 “이제 미술품도 더 이상 피난처가 아니다”라고 말한다.정책의 파도가 미술시장까지 흔들고 있는 셈이다. 이번 글은 부동산 규제가 실제로 미술시장에 어떤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는지, 그리고 그 우려가 단기적 현상인지, 구조적 변화의 신호인지 짚어본다.돈의 길이 바뀔 때, 예술의 가치 역시 새로운 질문 앞에 선다 — ‘예술은 언제부터 자산이 되었고, 언제까지 자산일 수 있을까?’ 유동성 둔화, 고가 미..
2025. 10. 17.
빛으로 물든 경주 보문단지 (APEC, 야경, 미디어아트)
2025년 10월 15일 밤, 경주의 보문호 일대가 빛으로 깨어났다.잔잔한 물결 위로 조형물의 불빛이 번지고, 미디어 아트가 어둠 속에 새로운 풍경을 그려냈다.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진행된 이번 ‘빛의 향연’ 야간 시연회는 단순한 조명 행사가 아니라, 도시와 예술이 만나는 한 편의 거대한 공연이었다. 호수의 수면은 스크린이 되고, 나무와 바람은 무대가 되었다.시민과 관광객들은 발길을 멈추고, 경주의 밤이 만들어낸 색의 파동에 숨을 고르듯 바라보았다.그 순간, 보문단지는 단순한 관광지가 아니라 빛으로 다시 태어난 도시의 상징이 되었다. 이 글은 그날의 현장을 따라가며, 경주시가 어떻게 예술과 기술을 결합해 새로운 야간 경관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는지를 살펴본다.빛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라, 도시의 미래를 ..
2025. 10.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