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7

작가는 있는데 소비가 없다? 부산 아트마켓의 구조적 문제 부산은 국내에서 손꼽히는 예술 도시다. 수많은 작가들이 활동하고 있으며, 해양 도시의 정체성과 예술적 감성이 어우러진 전시공간도 점점 늘고 있다. 그런데 정작 시장의 중요한 한 축인 ‘소비’는 여전히 약한 편이다. ‘작가는 많은데, 작품은 안 팔린다’는 말이 빈번하게 들리는 부산 아트마켓. 그 구조적 문제는 무엇이며, 해결책은 어디에서 찾아야 할까? 1. 공급은 넘치고, 수요는 부족한 불균형 구조부산은 예술 대학 출신 작가들이 많고, 젊은 창작자들이 정착하기 좋은 환경을 갖추고 있다. 공공기관의 레지던시, 창작 공간 지원 사업, 소규모 전시 지원 프로그램 등이 꾸준히 운영되며 작품 생산 환경은 점차 개선되고 있다. 문제는 그 이후다. 작품을 보여주고 유통할 수 있는 시스템, 그리고 소비자와의 연결 고리가.. 2025. 9. 30.
서울 vs 부산, 미술 시장 어떻게 다를까? 국내 미술시장은 단순히 전시와 판매를 넘어, 지역의 문화·경제·사회 구조와 맞물려 성장하고 있다. 그 중심에는 서울과 부산이 있으며, 두 도시는 미술을 대하는 방식과 전략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서울은 자본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산업형 미술시장’의 중심지이고, 부산은 공동체와 도시문화가 어우러지는 ‘문화형 미술 생태계’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글에서는 이 두 도시의 미술시장이 어떻게 다른지 구체적으로 비교해 보고, 향후 한국 미술시장이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해서도 고찰해보고자 한다. 유통구조와 생태계: 중앙집중 vs 지역분산서울의 미술시장은 국내 미술 유통의 중심축이라 할 수 있다. 강남구 청담동, 용산구 한남동, 종로구 삼청동 등에는 고급 갤러리들이 몰려 있으며, 대기업 계열의 아트재단, 글로.. 2025. 9. 30.
2025 아트페어로 읽는 유럽 미술 트렌드 (미술시장, 유럽, 수요) Katharina Grosse, CHOIR, (2025), Messeplatz Project, Art Basel.Photo: Jens Ziehe. © VG Bild-Kunst, Bonn 2025. Courtesy of the artist. 2025년 유럽 미술시장은 어느 때보다 역동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그 중심에는 전통과 혁신이 공존하는 ‘아트페어’들이 있다. 아트페어는 단순한 작품 전시를 넘어, 미술시장 전반의 흐름과 수요를 반영하는 지표로 자리 잡고 있다. 본 글에서는 유럽에서 주목받는 아트페어들이 어떻게 2025년 미술 트렌드를 형성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그 속에서 미술시장의 변화와 주요 흐름을 분석하고자 한다. 아트페어, 미술시장 흐름을 결정하다아트페어는 단순히 작품을 사고파는 장터가 아.. 2025. 9. 30.
리히터 작품 경매가 급등 (현대미술, 컬렉션, 화단 동향)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r)는 독일이 낳은 세계적인 현대미술 작가로, 최근 들어 그의 작품들이 주요 경매에서 연이어 고가 낙찰되며 다시 한 번 세계 미술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회화와 사진, 추상과 구상을 넘나드는 독특한 표현 방식은 수집가들과 평론가들에게 오랜 시간 높은 평가를 받아왔으며, 2025년 현재 그 가치는 전례 없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이 글에서는 리히터의 경매가 급등 현상을 중심으로, 그의 작품 세계와 현대미술 컬렉션 시장의 흐름, 그리고 미술계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현대미술 시장에서 리히터의 위치리히터는 현대미술 시장에서 가장 안정적인 작가 중 하나로 평가된다. 그의 작품은 이미 2000년대 이후 꾸준히 고가에 거래되어 왔으나, 최근 몇 년간.. 2025. 9. 29.
리히터와 독일 현대미술 (쾰른, 라이프치히, 베를린) 게르하르트 리히터(Gerhard Richter)는 독일 현대미술의 상징적 존재다. 그의 작업은 특정한 지역성에 국한되지 않으면서도, 독일의 주요 예술 도시들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특히 쾰른, 라이프치히, 베를린은 리히터의 창작 세계와 독일 미술계의 전반적 흐름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지리적, 문화적 배경을 제공한다. 본 글에서는 리히터의 예술을 중심으로 세 도시의 역할과 독일 현대미술의 역동성을 살펴보려고 한다. 쾰른: 리히터의 작업과 국제 미술시장쾰른은 독일 서부의 대표적인 예술 도시이자, 리히터가 오랜 기간 거주하며 작업한 도시다. 리히터는 1980년대 이후 쾰른을 거점으로 삼아 다수의 작품을 발표했고, 이곳에서 세계적 명성을 얻게 되었다. 쾰른은 전통적으로 현대미술의 중심지로 기능해왔으며, 갤.. 2025. 9. 29.
2025 예술 트렌드 읽기: 라이프치히와 신표현주의 2025년 현재, 세계 미술계는 다시금 ‘라이프치히 화파’에 집중하고 있다. 이 회화운동은 단순한 지역적 예술 현상이 아니라, 독일 현대미술의 정체성과 철학을 집약한 사조로 평가받는다. 라이프치히 화파는 동독 시절의 미적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냉전 이후 세계화된 미술 흐름 속에서 자신들만의 언어를 구축해왔다. 특히 2025년에는 디지털 기술이 예술 전반을 지배하는 가운데, 이 화파의 정통 회화 기반 작품들이 인간 중심 예술의 본질을 다시 묻는 계기가 되고 있다. 유럽뿐 아니라 아시아, 북미 미술계에서도 라이프치히 화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회화의 재부상'이라는 새로운 흐름이 가시화되고 있다. 라이프치히: 예술적 도시의 부활라이프치히는 단지 독일의 한 도시가 아니라, 수 세기 동.. 2025. 9. 28.